기출분석_최근 평가원 과학 지문에 대한 생각
과외 준비하다가 생각나는 대로 써본 거라 그냥 '이런 생각도 있구나' 하고 재미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왜 생명과학 지문이 출제되지 않고 있는가
23학년도 수능 이후의 평가원 모의평가/수능에서 출제된 과학 지문을 보면 생명과학 제재의 지문은 출제되고 있지 않습니다.
아마도 킬러문항 배제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겠죠.
사실 23수능의 기초 대사량 지문이 킬러문항으로 지목된 이유는 생명과학 소재라서라기보다는 수학 관련 내용이 많이 들어가서인 것으로 보이지만... 아무튼 평가원은 24학년도 6월 모의평가를 기점으로 생명과학 소재의 독서 지문을 출제하고 있지 않습니다.
과학 지문에서 출제될 수 있는 소재를 크게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천문학 포함)으로 나눠봅시다. 이중 물리학은 19수능 이후로 출제되고 있지 않고, 앞으로도 나올 확률이 희박해 보입니다.
19수능 이후 배경지식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동안 평가원은 생명과학 소재를 출제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AB형 시절 지문을 보면 물리학 지문은 배경지식의 유무가 이해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구과학도 I과목만 학습했더라도 교과에서 배우는 내용과 관련한 소재의 지문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그래서 24학년도 6월 모의평가의 지문을 보면 물리학, 지구과학이 아닌
<화학>소재의 지문이 출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5학년도 6월 모의평가 플라스틱 지문을 봐도 평가원이 과학 지문에서는 화학을 출제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이 기조가 아마도 당분간은 이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 그래서 생명과학 말고 화학이 출제되는 것이 무슨 차이가 있는가?
지금까지 출제된 생명과학 지문과 화학 지문을 봤을 때 가장 큰 차이는 ‘정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생명과학 지문의 정보 관계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20수능의 장기이식 지문, 어렵기로 유명한 2306 비타민K 지문을 봐도 이러한 인과 위주의 정보 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촉진/억제를 비롯한 인과 관계가 그물처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정보 관계가 주로 등장합니다.
반면 2506 플라스틱 지문을 보면 다음과 같은 정보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문단의 인과 관계가 무려 3점 <보기>문항으로 출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생명과학 지문은 촉진, 억제를 비롯한 연속적인 인과 관계가 특징이었다면, 화학 지문의 경우 원인이나 결과가 두 개 이상인 인과 관계가 제시되고, 여기에 비례/반비례 관계가 더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과학 지문과 기술 지문의 분류
24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 출제된 촉매지문을 보면, 구성 요소에 대한 나열 이후에 각각의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기술 지문과 유사한 흐름이죠.
구성과 과정이라는 글의 흐름을 봤을 때 기술 지문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이런 식의 지문이 처음 출제된 것인지 찾아보면 2206 PCR 지문도 비슷한 흐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2509 블록체인 지문은 기술 지문이지만 2506 플라스틱 지문과 비슷하게 노드 수와 보안성, 탈중앙성, 확장성 간의 인과/비례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보기>의 3점 문항으로 출제되었습니다.
이전에 출제된 지문 중 기술 지문이지만 인과/비례관계를 중점적으로 서술한 지문은 1809 STM 지문이 있습니다. (물론 화학 소재 내용으로 볼 수 있기도 함)
2406, 2509같은 지문을 보면 과학 지문과 기술 지문은 큰 차이가 없어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올해 25수능을 보면, 6월 9월 모두 인과 관계/비례 관계와 관련한 문항을 <보기>로 출제한 것과는 무관하게 그냥 구성과 과정을 제시하는 클래식한 기술 지문을 출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 최근의 평가원 과학/기술 지문의 경향성을 봤을 때 과학 지문인지 기술 지문인지를 글의 흐름에 따라 분류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최근의 과학/기술 지문에서는 생명과학에서 자주 보이던 연속적인 인과 관계보다는 원인이 여러 가지거나 결과가 여러 가지인 인과 관계 + 비례/반비례 관계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기술 지문의 특징인 구성과 과정을 서술하는 전개 방식의 특징은 여전히 알고 있는 것이 유의미해 보인다.
쓰다보니 결론이 좀 두루뭉실한 것 같기는 한데... 아무튼 읽어주셨다면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퍼정도? 미지노가 어느정돌가
-
7키로만 더뺀다 3
ㄱㄱ혓
-
뭔가 그래요
-
이건... 오르비가 아니야!!
-
공대에서 성비 4
2.7ㄷ1면 괜칞은건가
-
내일 건강검진이란걸 까먹고 있었어
-
이거 하나 남아있네….. 진짜 이때 공기 아직도 기억남
-
이과반 출신인데 놀랍게도 현역 과탐 평균 6등급이었음 재수때 1년 했으나 5등급에...
-
이창무쌤 들어서 일관되고 기출에 근거한 풀이는 할 줄 아는데 어느 순간 벽을 좀...
-
기계 생각볻다 여자많음
-
김동욱 교재 4
수국김 듣고 일클로 넘어가려는데 연필통에 본바탕, 바탕모고, 밑바탕 여러가지있는데...
-
고2 내신대비용으로 고3 기출문제집으로 수업해도 문제 없겠죠?
-
이번주면 최초합 발표 다 난다니 한 달뒤면 개강이라니 .. 정신 없이 사니까 더 빠르게 가는 느낌
-
ㄷㄷㄷ 신기 1
https://youtu.be/TZJTTSvOH6E?si=2Ylbs1DFxkljUtNv
-
올해 사탐은 3
ㄹㅇ 등급컷 나오기전까지 밥이 안넘어갔음 생윤이 진짜 ㄹㅈㄷ
-
?
-
작년에 기출 공부 전과목 거의안함 지1 빼고 과외돌이 문제풀어주는데 다까먹엇넹ㅋㅋ 수분감버억~
-
약속의 날 3
다들 합격 기원
-
짐은 안 풀고 폰만 보고있는 나 :
-
학교에서 한자 교육이 폐지돼서 그렇다고봄 가르치지 않아놓고 젊은 세대들 어휘력...
-
학원에서 기출하는데 수분감같은거로 이후에 다시 복습 하는게 좋을까요… 수1,2는...
-
어케 대처..?
-
6모때 11 안나오면 깔끔하게 유기하는거야 백분위 95는요?...
-
왜 다 자러감? 1
오늘 새르비는 없나
-
세지 변형 7
꾸준히 나오는 유럽 지역지리 포텐셜은 있었으나 답이 너무 쉽게 나왔던 250609...
-
옯붕이들 잘자요 11
내일 칼럼 올라가니까 봐줘요 바바이~
-
제가 하는 행동이나 말투,표현같은 게 동생의 삶에 영향을 많이 끼칠까요…?? 예를...
-
굿나잇
-
부산 14
결국 부산가기로 했는데 이건 꼭 먹어야한다는거나 해야한다는거 있을까? 추천좀
-
슬슬 잘까 2
옯에 재밌는거도 없는데
-
걍 근본 5
대대대 그냥 ㅋㅋ
-
또 야식 먹았다 8
김(양념안됨) 계란후라이 파김치 흰쌀밥
-
칼럼으로 빼기엔 가벼운 느낌의 글이라 일반 형식으로 적습니다. 특히 고정 낮1...
-
진짜모르겠네 사문 전과목에서 제일 잘한다 느꼈는데 수능만 가면 쳐박음 올해도...
-
음악관이 미쳤네
-
맞는데 왜
-
06 07년생들 집합 14
올해는 05가 대학간다 너네는 1년 기다려라
-
국어영향력이낮아지면좋겠어요 4등급이나1등급이나떡같으면좋겠어요...
-
1등급 뜨는거 아니면 바로 사탐으로 넘어가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갠적으로 과탐...
-
라고 하면 화낼려나?
-
군수 성공하고 6월에 전역하는데 1학기 군휴학내고 2학기 입학 가능한가요?...
-
강기원 선생님 하도 유명해서 들어보고 싶었는데 시대인재 라이브에서 들을 수 있는 것...
-
도서관이 식당으로 변신한 곳 음악관 프로필 사진 지난 겨울 캠퍼스 핫스팟 신...
-
최초합은 바라지도 않습니다 전화추합 이전 3차추합?정도 내에 붙을만한 예비가...
-
가까운 삼촌이나 큰아빠, 이모, 고모 등등 어떤 강사였으면 좋겠음?
-
언미물지 93 100 1 47 45
-
3700정도 있는데 필요하신 분들 말씀해주세요~ 학습자료 글도 올렸는데 봐주세용!
-
샌드위치보다 더맛잇는쿠키
흐음... 그런데화학지문은 2017이후로 단한번도 수능에 나온적이없습니다...
모의고사여서 나왔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