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독서] 리처드 프라이스의 도덕철학 맛보기
<얻어갈 개념어들>
자기명증적 진리(self-evident truths), 도덕적 의무의 복수성(plurality of moral obligations), 인지-감정 연관성(cognitive-affective connection)
감상주의적 관점(Sentimentalism), 프라이스의 도덕 원리(Darwin's Moral Principle), 1차 성질과 2차 성질의 구분(Primary and Secondary Qualities)
프리마 페이시 의무(prima facie duty), 주관적 의무(subjective duty), 객관적 의무(objective duty), 초과적인 행위(supererogation)
필연적 존재(Necessary Being), 자연신학(Natural Theology), 도덕 실재론(Moral Realism)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오늘은 알 사람은 다 알지만, 학생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18세기의 도덕철학자 리처드 프라이스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이제 서론 읽을 시간도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윤리적 직관주의, 감상주의적 관점, 도덕적 의무의 다원성 등을 분석한 아래 철학 지문을 읽어보세요.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출처: https://plato.stanford.edu/entries/richard-price/
참조 및 재구성.
(연습문제 1)
|
(연습문제 2)
허치슨과 흄은 도덕적 판단이 인간의 감정적 반응에 의존하는 내재된 도덕 감각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제안하였다. 이 감각은 특정 대상에서 아름다움이나 혐오감을 지각하는 우리의 감각과 유사하다. 이러한 감상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도덕적 속성은 인간 본성에 따라 결정되며, 우리의 감정이 달랐다면 도덕 감각 역시 달라졌을 것이다. 프라이스는 이 견해에 강하게 반대하며, 도덕적 판단은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이해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우리가 감사나 선행과 같은 행동을 옳다고 여길 때, 그 행동들에 대해 진리를 인지하는 것이지 단순히 감각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감상주의자들은 도덕적 속성과 로크에 따른 2차 성질인 색깔, 소리, 냄새 등의 유사성을 그려낸다. 로크에 따르면 2차 성질은 객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 속의 지각으로 존재한다. 프라이스는 이러한 유추를 비판하며 1차 성질과 2차 성질의 구분을 고찰한다. 1차 성질인 형태와 크기 등은 실제 객체에 존재하며, 우리에게서 그에 대한 관념은 실제 성질과 유사하다. 반면, 2차 성질은 객체 자체에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의 감각 기관이 외부 자극과 상호 작용하여 마음 속에 생성된다. 프라이스는 색깔이나 통증과 같은 감각을 객체에 귀속시키는 것은 인지적으로 모순이지만, 도덕적 속성을 행동에 귀속시키는 것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는 도덕적 속성이 행동 자체에 존재한다는 현상학적 경험을 부정할 이유가 없다. 더 나아가 프라이스는 도덕적 판단을 인간 본성에 따라 우연적으로 만드는 감상주의적 관점이 도덕 원리의 필연성과 보편적 타당성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도덕적 속성이 우리의 감정적 반응에 의존한다면, 인간의 감정이 없는 신은 도덕적으로 무관심하게 될 것이며, 이는 유신론적 관점과 모순된다. 그러므로 프라이스는 도덕적 진리는 행위의 본질에 근거한 필연적이고 입장에 독립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
(연습문제 4)
세계의 존재 방식에 대한 논의에서, 모든 사물은 우연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존재는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며, 이는 그 존재의 필연성이 다른 모든 존재의 개념에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만약 어떤 존재가 신적 기반 없이 존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는 신의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이 되고, 이는 필연적 존재의 개념과 모순된다. 필연적 존재는 한계나 불완전함을 가질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한계를 가진 존재는 다른 한계를 가질 수도 있었기에 우연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필연적 존재는 그 속성을 다른 것에 참여함으로써 가지는 것이 아니라, 그 속성 자체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신이 공간의 모든 부분에 존재함으로써 편재한다면, 우리는 신 없이도 무한한 공간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공간이 신과 독립적이라면, 신이 왜 모든 공간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신은 자신의 모든 속성을 독특한 방식으로 소유하며, 지성의 경우에도 진리를 인식함으로써 지적인 것이 아니라 진리 그 자체이기에 지적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도덕 명령 이론에 대한 반론에서 중요하다. 만약 도덕이 신의 통제를 벗어난 진리의 집합이라면, 이는 신의 주권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나 신의 도덕성은 그가 창조하거나 변경할 수 없는 원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본성을 따르는 데에 있다. 자연신학에서는 우리가 이 우주가 강력하고 지혜로운 원인의 능력과 지혜의 명백한 표현임을 인정하지만, 그 설계자의 도덕적 성품을 선과 악의 분포로부터 추론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악의적인 존재도 행복을 만들 수 있고, 현재의 행복이 미래의 불행을 위한 기만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덕 실재론의 입장에서, 우리는 선의가 악의보다 본질적으로 더 우월하고, 지적인 존재는 이러한 진리를 인식하고 따라야 하므로, 신이 도덕적으로 완전함을 선험적으로 알 수 있다. 하지만 미덕이 항상 보상받지 못하고 악덕이 처벌받지 않는 현실은 미래의 삶에서 이러한 불균형이 시정될 것임을 암시한다. 기적의 신빙성에 대한 논쟁에서, 증언의 신뢰는 경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며, 증언자의 인격과 일반적인 인간의 속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기적은 경험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 다른 사건이며, 선행하는 불가능성은 증언의 신뢰성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기적에 대한 믿음은 그 추상적 가능성이나 선행 불가능성보다도 증언자의 신뢰성과 정직성에 근거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레전드 얼버기 3
얼리버드기상
-
비냉 시킴 4
걸리면 아침밥이라고 우긴다
-
다니던 대학 졸업하고 다른곳으로 옮길 수 있나요??
-
두분다 안주무심 지금으로써는 들키고 비는거밖에안떠올름
-
난 너를 사랑해 3
뻥임뇨
-
오늘은 조용하네
-
이모드깔고 바닐라로 새 인생 살고싶어졋는데 얻덕하냐 또 엔딩에서 한발짝멀어짐
-
오늘뭔날인가 진짜 비냉먹고싶어서 눈물나어는데 왜이러는거냐
-
6일 정도 나오려나. 별루 없네
-
뭐 140살까지 살고 그런다는데 진짜 140년동안 뭐해야함?.?... 140살까지...
-
아깐 우울했는데 지금은 거의 조증 수준으로 고양()되어있음
-
오늘 밤 다시뵈요
-
롤체가 재밌는듯 내가 원챔유저라그런가..
-
새르비 장점 1
특정 당할 확률 적어서 좀 더 솔직해져도 됨
-
10년안에 인공지능 발전해서 특이점오는데 그냥 놀아도됨 당장 학원다 그만두세요
-
너무 어렵고 가르쳐줄 친구도없어...
-
새벽 헬스완 4
아 유산소 개힘드네
-
배고파 0
비냉먹고싶어..
-
썬크림 바르고 잘뻔햇네 휴
-
댓글은 하나도 없는데
-
맞팔구 12
은발테닝테두리를 받고 싶도다.. ?
-
만약 3월 중순에 들어간다하면 첫 달 금액을 어떻게 계산함..? 똑같이 한 달로...
-
72점 뭐지 필기 이리 쉬운거였음?
-
비냉먹고싶어 5
이시간에 배고파지면 개노답인데
-
마음이편안해진다
-
이모 잘게 5
진짜로
-
레어 좀 사줘 5
부탁좀할게너무거슬려자꾸나따라다니는찐따친구같아
-
늦잠 잣다 4
근데 늦게 잠든거라 상관없다
-
학식에 냉면나옴 2500원임 곱빼기가 +500원인가 그러는데 이건 대야에 나옴
-
미적은 신이구나 2
어제배운 미분법으로 이게 증명가능하네 캬
-
어쩌다 도입됐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한국은 나이로 줄세우는거 꼭 해야하는데...
-
뭐지 4
뭐엿을까
-
있음?
-
각ㄱ각 12월말 1월초에 태어나면 1~2주차인데 그 차이때매 언니오빠형누나되눈게신기하지않냐
-
곧생일인데 4
ㅈㄴ 기대 하나도 안된다
-
이별하지않기 9
잘자라
-
너무 젊음만 멋지고 찬란하게 묘사되고 어렸을 때 처리하거나 결정되는 일이 너무...
-
을의 연애를 한다. 근데 이거 ㄹㅇ임. 갑의 연애를 하고싶은사람들은 갑질의 대상을...
-
1일 1스벅 사줄 수 있음
-
고딩때가 좋앗던거같다 11
그땐 걱정이라곤 대입밖에 없었는데
-
왜 없지..? SRT 원래 세시에 취소표 푸는거 아니었나
-
기능 3수 도로 3수
-
사문 8
불명+림잇 동시에 할건데 낫배드? 배드? 개념 진짜 개빡세게 잡게
-
기습 ㅇㅈ 27
어릴 때긴 한데 너무 귀여움
-
내일 첫 기능 연습인데 13
조심조심 마인드로 할까요 아님 아무도 날 막을 수 없다 마인드로 갈까요?
-
그냥 내 앞에 누가 있냐 없냐도 아니고 내가 cc냐 bb냐로 결정되는거니깐...
-
결과가 확실한 성취감+무아지경에 빠지는 느낌이 좋음 어쩌면 생산직이 내 적성일지도...
-
투표ㄱㄱ 3
배성민 드리블 vs 김범준 카이스 아나토미 vs 현우진 수분감
많이 배워갑니다.
선생님 덕에 요즘 수험생처럼 공부하게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