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선과 위악 [728914] · MS 2017 · 쪽지

2023-12-20 08:31:13
조회수 15,247

공부량으로만 본 1980년대와 현재 대학 입학 난이도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market.orbi.kr/00066010122

지독히도 갈등 요소가 많은 나라입니다. 지역 갈등, 계층 갈등, 여남 갈등, 세대 갈등, 여기에 남북 대치까지...


그럴 수밖에 없다고 저는 봅니다. 


세계은행 21년 통계 기준,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1 제곱킬로미터 당’ 인구밀도 세계 평균은 61명입니다. 한데 대한민국은 530명이네요.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EN.POP.DNST


인구 많다고 소문난 중국이 150명, 미국 36명, 일본 345명인데요. OECD 국가 중 우리보다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는 단 하나도 없습니다. 


출산율 감소, 인구 감소 우려로 나라가 난리 아우성이죠? 저는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저는 이 모든 게 ‘자연선택 과정’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천혜의 자원을 가진 것도 아닌데, 세계 평균보다 9배 가까운 인구밀도가 가당하다고 보시나요? 케이쥐 안에 쥐가 너무 많으면 결국 쥐끼리 먹고 먹힙니다. 그 어떤 대책이 나와도, 인구밀도는 당분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저는 봅니다. 그게 자연법칙이기도 하고요.


어느 수험생 사이트를 보니 분노에 찬 글 하나가 보였습니다. 


‘요즘 (수험생 수가 줄어서) 대학 가기가 쉽다고 하는데 꼬우냐’는 내용이었습니다.


기실, 대학 가기는 앞으로 더욱 쉬워질 것이라고 봅니다. 수험생은 줄어들 수밖에 없으니까요. 물론 대학을 나온 이후의 삶이 어떨지는 잘 모르겠지만.


다만 한 가지 이야기할 것은. 과연 대학 가기까지의 ‘과정’이 쉬워졌는가입니다. 


시계를 잠시 40여 년 전으로 돌려보겠습니다. 


제가 중학교 3학년이던 1980년 7월 30일, 전두환 대통령은 과외 금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서슬 퍼런 군부 통치 시절이었지요. 자식이 과외를 하다가 걸리면 공직자의 경우, 공직을 떠나야 했지요. 


저요? 행복 그 자체. 사교육을 받을 형편도 못 됐는데, 과외가 금지됐으니 할렐루야였지요. 


고등학교에 진학하니, 오후 3시 50분 정도면 수업을 마쳤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고 2 때까지는 수업 마친 뒤 학교 도서관에서 2~3시간 정도 공부하고 집으로 돌아와 밥 먹고 놀았던 것이 제 일상이었습니다. 


매달 있던 국영수 중심의 월례고사는 평소 실력으로 시험 쳤고, 한 학기에 두 번 있는 중간-기말고사 때는 3주 전부터 공부하는 게 그나마 공부 좀 한다는 학생들의 태도였지요. 


중간-기말고사로만 평가하는 내신을 대입에 반영했지만, 실질 반영률은 미미했습니다. 15등급으로 내신을 나눴는데, 내신 한 등급 당 차이가 대학에 따라 2.5~2.6점 정도였습니다. 학력고사는 340점 만점이었고요. 


즉, 3년 내내 딴 내신 한 등급 간 차이가 학력고사 1점짜리 3문제보다 못한 셈이었습니다.(당시 수학 빼고는 한 문제당 무조건 1점이었습니다.) 그러니 내신이 뭐 5등급 6등급이 아닌 이상, 학과 차이가 날지언정 서울대 가는데 내신 때문에 못 간다는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모든 게 학력고사 ‘한 방’으로 결정되던 시절이었지요. 


당시는, 공부 좀 한다는 학생조차 고 2 겨울방학이 돼서야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때부터는 방학 때, 하루 10시간 이상 책상에 앉아 있었습니다.


관악에 진학한 저조차 고 2 겨울방학 전까지는 시험 때가 아닐 경우 많아야 하루 3시간 공부가 고작이었습니다. 물론 ‘자발적인 공부’였기에 효율은 ‘강제적인 학원 학습’보다는 높았을 겁니다.


아해가 하나 있습니다. 지금은 교사가 된 15학번.


아해가 초등학교 5학년이 될 때까지 사교육을 전혀 시키지 않았습니다. 그냥 집에서 공부하도록 했습니다. 나도 그렇게 해서 관악에 갔으니까.


허걱. 아해 성적은 실망 그 자체였습니다. 안 되겠다 싶어서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사교육을 시켰습니다. 이후 아해의 삶은 제 눈으로는 피폐 그 자체. 초등학교 때 이미 밤 8시 정도에 학원에서 돌아오더니, 중학생이 되면서 오후 10시 귀가. 


인구밀도가 X 같이 높은 나라에서 살아남으려면 저렇게 공부해야 하는구나.


고 2, 고 3에 ‘해당하는’(아해는 검정고시 출신입니다.) 2013년, 2014년에 아해가 보인 노력은 제게는 경이 그 자체였습니다. 저는 그 나이 때 그렇게 공부하지 않았으니까.


당시 아해에게 진심으로 했던 말이 있습니다. 


“네가 그 어느 대학을 가든, 아니 대학을 못 가더라도, 나는 너를 진심으로 존중할 것이다. 네가 보인 노력을 내 눈으로 보았으니까.”


요즘도 지인 늦둥이들의 입시 상담을 하는데... 요즘 학생들이 공부에 들인 노력을 보면, 저는 할 말이 없습니다. 1981~1983년에 고등학교를 다닌 제가 들인 노력으로 24 수능을 본다면? 절대로 ‘인 서울’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봅니다. 


언제부터 입시가 이리도 지옥도로 변했는지 저는 모릅니다. 하여튼, 1980년대는 지금보다는 훨씬 행복하고 낭만적이었습니다. 대학 가는 경쟁률 자체는 우리 때가 높을지 모르지만(84학번 학력고사 수험생은 66만8000명 정도였습니다. 90년대 초반에는 90만이 넘었지요.), 공부량은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었습니다. 


1980년대에 대학에 가서, 졸업과 동시에 아무런 고민 없이 몇몇 직업을 제외하고는 ‘골라 골라’ 수준으로 취업할 수 있었던 우리 세대는 정말로 천운을 타고났던 세대였습니다. 


 추신.


제가 대학을 졸업하던 무렵, 마사회에서 취업 알림이 학과에 왔습니다. 누군가 마사회 취업 이야기를 하자 어느 놈 왈, “야, 마사회 가서 뭐 하냐? 말똥 치울 거여?” 지금 마사회 가려면 어느 정도 공부해야 할까요?


일례 하나 더. 1989년 봄, 당시 안기부(현재 국정원)에서 저희 집에 편지와 전화까지 했습니다. 


“귀하의 자제를 안기부에 보내주시기를 바랍니다.”


아부지는 너무도 좋아하시면서(국가 기관에서 ‘귀하 아들을 우리 기관으로 보내달라’고 먼저 청한 것이니...) 전화로 그리 대답하셨다지요. 


“아들이 신문기자가 되려고 해요. 그래서 안 간다네요.”


“아이고, 선생님. 안기부에도 언론 기관이 있습니다.(당시 북한 문제 등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내외통신’이라는 언론사가 사실상 안기부의 통제 아래 있었습니다.)”


지금 국정원 가려면 어느 정도 노력해야 하나요? 저의 경우처럼, 일개 대학생에게 먼저 ‘영입 의사’를 밝히기도 하나요?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은 몇백 년 전이 아닙니다.

0 XDK (+300)

  1. 100

  2. 100

  3. 100

  • 미사카 미코토 공부법 · 1274394 · 23/12/20 08:37 · MS 2023

    생각이 많아지는 글이네요 다양한 시각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글 항상 감사합니다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09:16 · MS 2017

    제가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나무위민달팽이 · 1064280 · 23/12/20 09:15 · MS 2021

    어쩜 이렇게 재미와 생각할거리를 잘 녹여내시는지...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09:16 · MS 2017

    감사합니다만, 과찬이십니다. 그냥 요즘 세태를 보면서 든 느낌을 적었습니다. 응원합니다.

  • 호시노시아 · 1270604 · 23/12/20 09:31 · MS 2023

    감명깊게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가로숲 · 882711 · 23/12/20 09:34 · MS 2019 (수정됨)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직업도 주식이나 코인처럼 흐름을 탄다고 생각합니다. 물리학과, 한의예과, 수학과, 컴퓨터공학과처럼. 지금은 메디컬(전문직 전반)이 고점이고 공무원이 하향세인데 20년 뒤엔 또 어떨지 모르죠.

  • 금닥터 · 1171368 · 23/12/20 09:50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min1018 · 1175651 · 23/12/20 10:28 · MS 2022

    와 안기부

  • min1018 · 1175651 · 23/12/20 10:29 · MS 2022

    그때 안기부면 지금 국정원 이상아님?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1:41 · MS 2017

    유구무언입니다. 상황이 많이 달랐던 시절이죠, 지금과는...

  • 후루루룽 · 1021761 · 23/12/20 10:38 · MS 2020

    저희 아부지는 부산대 나오셨는데 이야기 들어보면 그 당시 공무원은 줘도 안가는 곳이였고 졸업후에 공무원 하겠다고 계약? 하면 전액 장학인가 주는게 게시판에 붙여 있었다 하더군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1:37 · MS 2017

    정말로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죠...

  • 공부싫어하는사람 · 1188266 · 23/12/20 10:45 · MS 2022

    확실히 경제 성장기와 지금을 비교해보면 지금이 훨씬 포화 상태이고 뭔가 막힌 느낌이 드네요..
    고령화 저출산이 심해지고 살기가 힘들어져서 전문직 선호현상이 심해지는 걸 보면 앞으로 이 나라가 어떻게될지 알수가 없습니다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1:38 · MS 2017

    저도 그게 가장 우려됩니다. 그 속에서 살아야 하는, 아니 살아남아야만 하는 이들의 신산함도 그렇고요.

  • 응쿼 · 1260825 · 23/12/20 10:51 · MS 2023

    인구밀도 자체는 줄어드는게 좋은현상인데 문제는 그럼 고령화가 너무 심해져서... 사실 땅덩어리 ㅈ만한게 그냥 답이없음 ㅠ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1:38 · MS 2017

    유구무언입니다.

  • Serene_ · 1051936 · 23/12/20 11:23 · MS 2021

    시대는 계속 변하고 그 시대사람들만 알던 게 있는거죠 세상은 늘 힘들고 그 속에서 빛나는 사람이 승자가 되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1:39 · MS 2017

    이 댓글에도 유구무언입니다. 한데, 하여튼 공부량은 지금이 우리 때보다는 훨씬 많습니다. 최소한 인서울이든 지거국이든 가려면...

  • 경상남도소방본부 · 963791 · 23/12/20 11:53 · MS 2020

    당장 10년 전과만 비교해봐도, "똑같은 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은 훨씬 높아졌지만, "똑같은 등급을 받는 것"은 훨씬 어려워졌다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두 변수가 상쇄돼서 대학 가는 난이도는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보이네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2:02 · MS 2017

    아, 10년 전과 비교하면 그렇군요. 하여튼, 요즘 인서울이든 지거국 수준의 대학을 가기 위한 공부량은 저 때와 비교하면 훨씬 많다고 봅니다.

  • 흑석을 넘어 안암까지 · 1166967 · 23/12/20 12:16 · MS 2022

    극히 공감합니다

  • 킴류 · 290167 · 23/12/20 12:03 · MS 2009 (수정됨)

    첫줄에 그냥 성별갈등이라 쓰는 게 낫지 않나 싶어요 괜히 불편러들 생길 수도 있어서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2:12 · MS 2017

    아, 그런가요? 제가 그 생각까지는 못 했습니다. 저는 요즘 여남 혹은 딸아들이라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남성을 앞세우는 게 저조차 이제는 불편합니다. 여남갈등보다는 성별 갈등이 나을 수도 있겠네요. 앞으로 글 쓸 때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킴류 · 290167 · 23/12/20 12:16 · MS 2009

    저런걸로 다툼이 벌어지는 거라 그냥 중립단어로 쓰는 게 편하더라고요.

  • 화생으로대학가기 · 1146189 · 23/12/20 12:35 · MS 2022

    이 나라는 언제부터 괴물이 되었을까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2:38 · MS 2017

    유구무언입니다. 참 살기 힘든 나라이기는 하지요.

  • 화생으로대학가기 · 1146189 · 23/12/20 12:47 · MS 2022

    세상도 갑자기 불공평해졌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 hzB0RuZgfsSxpT · 759388 · 23/12/20 12:59 · MS 2017

    이런 옛날 얘기 재밌고 유익해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3:17 · MS 2017

    재밌으셨으면 그저 감사합니다. 그냥, 객관적으로 쓰고 싶었을 뿐입니다. 꿀 빨았던 세대를 산 사람으로...

  • Myzki · 1247259 · 23/12/20 13:07 · MS 2023

    변화하는 세계질서라는 책이 생각나는 글입니다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3:18 · MS 2017

    오우 그런 베스트셀러와 연관이요? 그냥 제 짧은 경험을 쓰고자 했습니다. 15학번 아해가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서, 요즘 아해들 참 불쌍하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저는 정말로 편하고도 낭만적으로 공부했는데... 그립다...

  • 서도순 · 1244457 · 23/12/20 13:22 · MS 2023

    이러한 폐단또한 딛고 모두가 잘 사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3:24 · MS 2017

    그리 되기를 저 역시 바랍니다. 화이팅 대한민국...

  • 고1 자퇴생 · 1186608 · 23/12/20 13:25 · MS 2022

    부모님도 종종 절 보면서 지금 태어났으면 대학 못 갔을 것 같다고 말씀하시곤 하는데 이런 이유거 있었군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3:25 · MS 2017

    팩트로만 보면 부모 님 말씀이 맞습니다. 제 아해 대입 때만 봐도, 제 공부량의 족히 3배는 됐으니까...

  • 빡! · 1220239 · 23/12/20 14:14 · MS 2023

    선생님 볼때마다 글이 참 멋지다고 느낍니다.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0 14:47 · MS 2017

    하... 감사는 한데... 실상은 후지디 후진 사람입니다. 틀딱이자... 그냥 우리 후배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 jat2002 · 342992 · 23/12/20 14:46 · MS 2010 (수정됨)

    다 좋은데 글 처음부터 갈등을 얘기하시면서 여남갈등이 뭡니까. 그냥 기존에 부르기
    편하던대로 남녀갈등이라고 하면 되지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1 07:33 · MS 2017

    지적 감사합니다. 죄송하지만, 저는 앞으로도 여남, 딸아들이라는 용어를 쓸 것입니다. 남자가 무조건 앞에 오는 용법, 남자임에도 이제는 쓰기 싫습니다. 그래서 '역으로, 일부러' 그리 쓰는 것입니다.

    저는 여성도 병역 의무를 져야 한다고 보며, 출산 뒤 여성 육아 휴직을 '권리화'하자는 데 동의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병역 의무를 이행한 사람에 대한 지원은 지금보다 대폭 늘어야 한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평안하소서.

  • 김고져스 · 881358 · 23/12/20 14:53 · MS 2019

    인구밀도가 줄어들면서 취업이 쉬워지고 삶의 질이 개선되려면 경제규모나 소비가 유지되어야 할 텐데, 그게 잘 되면 좋겠습니다. 취업난이 줄어들었다는 일본과 우리나라가 그런 면에서 비슷한지 다른지는 잘 모르겠네요...

  • 위선과 위악 · 728914 · 23/12/21 07:36 · MS 2017

    저 역시, 거시적 측면에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의 파급 효과를 제대로 알지는 못 합니다.

    다만 현금 우리 사회 국가는 자연선택의 과정에 있다고 생각할 뿐입니다.

    출산율 증가는 지금 당장은 백약이 무효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 국가가 잘 되기만을 그저 소시민으로 빌 뿐입니다.

  • jat2002 · 342992 · 23/12/20 15:22 · MS 2010 (수정됨)

    김고져스/ 일본같은 경우는 노년층들이 은퇴한 상태에서 그만큼 일자리를 남겨놓고
    나갔고 또한 이분들이 구매력도 있는 상태이니 기업도 유지가 되서 취업난이 많이
    줄어든 상태죠.
    하지만 이 노년층들이 점점 사라져 간다면 결국 기업의 매출도 떨어질테니 기업의
    규모도 지금보다는 줄어들게 될 것이고 아마도 지금보다는 다시 취업하기가
    어려워지겠죠. 물론 수출로 매출이 유지된다면 모르겠습니다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