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기화곡선이 증기압력곡선이냐 ㅡㅡ
증기압력이 외부압력과 같아지는 부분이 끓는 점이지?
그 끓는점 = 기화곡선이고
맞지?
근데 온도에 따라서 증기압력이 외부 압력과 절대 같아질 수 없을 수도 있는 거잖아
그럼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H2O는 끓는점에 간당간당 걸쳐있는 거겠네? 다 결국 동적평형되면 증기압력이 끓는점 수준까지 높아지니까
그럼 닫힌 병 안에 있는 물은 조금만 다 뭐만 좀 건드리면 바로 끓겠네?? 이게 말이 됨??
내가 생각하는 시나리오:
만약 내가 온도 25도인 평범한 곳에서 닫힌 생수통을 가지고 있었다
생수통 안의 물은 동적평형 상태 = 즉 증기압력을 가진 상태가 된다
근데 증기압력 = 기화곡선이면 물은 끓기 직전이다? ㅡㅡ
그럼 편의점에서 누가 소리 한번만 왁 지르면 음료수 병들 다 터지고 날라다니고 난리나야 하는 거 아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도쿄대 의대
-
다음 단어장으로 넘어가려는데 끝낸 단어장을 어떻게 활용해야될지 모르겠어요 한번더...
-
난 올해 21살 대학생이고 작년에 대학교 여행 동아리 들어갔는데 거기서 같은 조...
-
뭐 매뉴얼있읍?
-
돈도 좀 모으고 여행도 다니고 공부 하반기에 많이 하고 상반기엔 적당히 해도 되겠죠?
-
연세대 2025 인문논술 문제는 아직 공개가 안된 것인가용 1
인터넷에 찾아도 안 나오네요ㅜ
-
안녕하세요 예비고2 학생입니다 지구과학 앞 단원 쪼금 듣고 2월 돼서 부랴부랴 다시...
-
이거 로피탈안쓰고 어케풀어요?
-
추워시발.... 2
제발 히터 좀 틀어줘.........
-
내 레어 다 어딨어 14
-
4규,빅포텐 시즌1, n티켓, 이정도 하면 공통 준킬러까지는 비벼볼만 할까요?...
-
라프텔 모처럼 가입했는데 신작 좀 보게요
-
다즈비 펀치! 다즈비 펀치!
-
좀 끄시라고요
-
머라고 할거임
-
시대인재에서 수업을 공통 박종민 물리 현정훈 생명 김연호(예정) 인강으로는 강민철...
-
배설욕>수면욕>식욕 배설욕이 제일 강함 지금 배고프고 졸리고 화장ㄹ실가고시 픈데...
-
과제나 일때문에 잠을 너무 못자면 분명 피곤한데 잠에 들지 멋하는상태가 되는데 이게...
-
몸살이 개애매하게 났는데 원래 6시반칼기상해왔는데 이틀연속 알림못듣고 8시기상함...
-
노베 국어 1
국어 노베기준 유대종쌤이랑 김승리쌤 둘 중 누구를 더 추천하시나요? 보통 주변에서...
-
평행 부정합인줄 알았는데 기저역암이 아니라 집괴암(64mm이상)이였던거임 ㄴ.최소...
-
영통러셀 vs 시대인재 (둘 다 재종) 제가 문과인데 러셀은 집에서 바로 7분...
-
이게되네 전적대는 지방4년제였음
-
안사는거 추천함 거기에 요즘 플스 괜찮아보이는게 큰일나긴했음
-
평가원 기출두고 한문장씩 정확히 읽고 해야할 생각 고민하기 이것만 하셈 제발 그게 기초공사니까
-
그걸 또 대학 가서 할 여유가 있을지 모르겠음
-
예민해졋나 1
화를 주체할 수 없군 엄청난 짜증이다
-
메인 좋아요수 1
ㅈㄴ압도적이네 화학이 그렇게싫어?
-
저는 누구들처럼 아무말 않겠습니다. 판단은 여러분들 몫입니다.
-
서연고 이왜진 4
-
수분감 회독 조지고 그냥 뉴런 드갈까요.. 아님 한완기나 자이 거칠까요..?...
-
좀만 더 버티자
-
맞팔구 3
.
-
아 ㅈㄴ 떨리네 나만 ㅈㄴ 불안하나 젠지 이갈고 올텐데
-
장염 2
금식할 것 전해질+수분보충 따뜻하게 당은 좀 배제 맵거나 기름지거나 우유들어가거나...
-
‘꿀’리1 ‘꿀’리2
-
궁금
-
좋아요 좀 눌러줘요
-
스케줄표에 학원간다고 적었는데 학원안가고 잇올에 앉아있으면 뭐라함?
-
전과가하고싶구나 0
소녀들이많은공대구함
-
69평 해설강의 얼마임??
-
미치겠음 수면 성분도 없는데
-
집은 둘다 먼데 어떤 대학 가는게 좋을까요
-
작년에 김승리쌤 듣고 언매 다맞았는데 유대종쌤이 언매 좋다고 들어서 누구 들을지...
-
어차피 전공은 지정이고 선택권이 있는것마저 고정수업 피해서 찾으면 결국 우리과...
-
사정상 인강을 못 듣는 독학러인데 개념은 전부 다 알고 있고 자이스토리도 다...
-
수투만 하는 중인데 확통, 수원도 삿음 근데 책이 너므 비쌈;;;;;;;;
물의 끓는점은 100도c 1기압(대기압과 같은상태) 이고
물의 25도c에서 증기압력은 0.1기압보다 낮아요
1기압인 상태에서 물을 채우고 뚜껑을 닫은 생수통속 기체 압력은 상평형 상태에서 1기압보다 조금 높은 압력을 가지게 되겠죠
만약 물이 25도c에서 끓으려면 생수통속 기압이 물의 25도c 증기압과 같아져야 하는데
그말은 생수통의 기압이 0.1기압 아래로 떨어져야 한다는 말과 같은거구요
즉, 기압이 증기압력보다 훨씬 높아서 끓는점이 아니라는 말이에요
주변기체가 물이 전부 기체가 되지 못하게 더 높은 압력으로 누르고 있는거죠
결국 내가 혼동하고 있던 부분을 알아냄
혼동하고 있던 부분은 상평형 그림의 증기압력곡선은 사실 증기압력에 대한 게 아니라는 거임
앞 단원에서 나오는 증기압력곡선 그래프는 '물질의 자체의 압력'에 대한 건데
상평형 그림에서 증기압력곡선=기화곡선이라고 부르는 건 사실 '물질 외부의 압력'에 대한 그래프라는 거임
근데 이름이 증기압력곡선인 이유는 둘의 값이 같으니까 그런 거임
물질의 압력의 크기 값 (증기압력) = 물질 외부의 압력 크기 값 (기화되려면 외부가 가져야 하는 압력)
이렇게 되니까
그래서 값이 같으니까 그냥 이름을 똑같이 대충 퉁치는 거임
휴~ 역시 난 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