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7호] 영어 지문 씹어먹는 독해법 연습
[포디쌤의 수능 영어 칼럼 ④] 2022 수능으로 연습하기 (2)_주제 유형
오늘도 칼럼 ②에 이어서 2022 수능 문제로 “단순화 스킬”과 “강세 두기 스킬”을 연습해보자.
칼럼 ①~③을 읽고 와야 이해가 더 잘될 것이다.
① 2023 수능 영어를 대비하는 자세 - https://orbi.kr/00041394102
② 영어 지문을 읽고 머리에 남는 게 없는 너를 위해 - https://orbi.kr/00041699649
③ 수능 영어 공부, 문제 풀이 스킬 말고 이것부터 - https://orbi.kr/00042140757
------------------------------------------------------------------------------------------------------
우선 아래 지문을 읽고 지문을 “자기 언어로 환산”하는 연습을 해보자.
선지는 일부러 뺐다. 텍스트만 읽지 말고 문장 하나하나를 머릿속에 입력하며 읽어보자.
------------------------------------------------------------------------------------------------------
[2022 수능 23번] 주제 유형
①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
[강세 두기] 친철하게 필자가 이탤릭체로 강조를 해준다,,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을 믿지 않고 쓰기만!!!!!!하는군; 패러다임의 사용(중심소재)
(흠 그래서 어떻게 쓴다는 거지,, 이런 궁금증이 들어야 한다)
[단어TIP] 이 정도 수준 문장은 사실 직역과 단순화 사이 큰 차이가 없다. 대신 짚고 가면 좋을 부분 중 하나는 “패러다임”이라는 어휘의 단순화다. EBS 해석을 보면 그대로 패러다임이라고 나와 있지만 단어가 학생들에게 얼마나 와닿을지는 모르겠다. 영한 사전에 쳐보면 “인식 체계” 정도로 나오는데 하나의 “생각하는 틀”이라고 이해하는 게 쉬울 거다.
(이 지문에서는 사실 패러다임이라는 단어 뜻이 중요한 건 아니라서 그냥 “A라는 개념”이라고 봐도 무관하긴 하다. 하지만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니 참고하자)
② The use of a paradigm in research typically addresses related problems by employing shared concepts, symbolic __EXPRESSION__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tools and procedures, and even some of the same theoretical statements. |
(1) The use of a paradigm in research typically addresses related problems
: 아 그 틀을 연구(세부소재)에서 사용할 때,,,관련된 걸 다루는데,, (어떻게?)
(2) by employing shared concepts, symbolic __EXPRESSION__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tools and procedures, and even some of the same theoretical statements.
[강세두기] 아 이제 그 “어떻게”가 나오는군!! 나열이니까 스피디하게 읽는 대신 포인트는 캐치하자.
같이 아는!! 거, 상징 같은 거, 뭐 실험 수학 도구/과정, 그리고 심지어는!!! 같은!! 이론적인 내용,,얘네를 사용! 하는군
[단순화] 음 뭔가 그 틀을 사용할 때 비슷한 거, 같이 아는 걸 쓰는군
[단어 TIP] by 라는 전치사를 ‘~에 의해서’ 정도로 해석하는 친구들도 있을 텐데 사실 수능 독해에서는 “…로(방법수단을 나타냄)” 사실 더 많이 쓰인다.
[Oxford Dictionary] by: used for showing how or in what way something is done
③ Scientists need only understand how to use these various elements in ways that others would accept. |
(1) Scientists need only understand how to use these various elements
[강세두기] 과학자들은 단지!!!!!이것만 알면 됨. 어떻게!!!!!!!위에 나온 걸 쓸지
(2) in ways that others would accept.
[단순화] 어떤 방식이냐면, 다른 사람들이 다 괜찮다고 생각할 방식! = 모두가 동의할 방식 (그 방식이 결국 패러다임을 쓰는 것)
④ These elements of shared practice thus need not presuppose any comparable unity in scientists’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when they use them. |
(1) These elements of shared practice thus need not presuppose
[강세두기] 서술어가 부정일 때 특히 유의하며 읽자. 그래서 앞에 말한 것처럼 하려면, ~~는 필요없는데~
(2) any comparable unity in scientists’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when they use them.
[강세두기] 아 “통일성”!!!(= 다 똑같이 생각하는 거)이 필요없군! (과학자들이 그걸 쓸 때 자기가 뭐하는지 스스로 생각하는 거에 대한 통일성)
[단순화] 앞에 말한 방식을 쓰면 과학자들 생각이 다 달라도 상관없군!
즉, 패러다임을 어쩌구저쩌구한 방식으로 쓰면 과학자끼리 서로 생각이 다른 게 커버되겠군!
[단어 TIP] comparable을 “비교하는”이라고 해석하면 혼란이 올 것이다. 영한 사전 정의로는 “비교할 만한”이고, 풀어 설명하자면 “견줄 있을 정도로 비슷한”이다. 단순하게 “similar(비슷한)”정도의 의미로 외우자.
⑤ Indeed, one role of a paradigm is to enable scientists to work successfully without having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
(1) Indeed, one role of a paradigm is
:오 그 틀의 기능을 직접 다시 한 번 말해주네 ,,,딱봐도 중요해,,
(2) to enable scientists to work successfully
: 일 잘할 수 있게 해주는,, 완전 좋은 거네,,
(3) without having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 뭐 안해도 되는데? 아 자기가 뭐하는지~ 자기 생각이 뭔지~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군!!! 완전 편하네~~
[단순화] 패러다임 너,,, 과학자가 일 잘하게 해주는 참 좋은 애군,,
(앞 문장과 단순화와 연결 – 당연히 생각 다른 걸 커버해주면 일할 때 꿀이지,,)
[단어 TIP] Indeed는 강조의 기능을 가진 연결어라는 점 기억하자. 인! 디드~!!! 이런 느낌으로 읽고 해당 문장을 중요하게 읽어야 한다
⑥ Thomas Kuhn noted that scientists “can agree in their identification of a paradigm without agreeing on, or even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ation of it. Lack of a standard interpretation or of an agreed reduction to rules will not prevent a paradigm from guiding research.” |
(1) Thomas Kuhn noted that
: 노파심에 하는 말이지만 이런 건 진짜 0.5초만에 넘기자,, 사람이름 나오면 일단 패쓰,, 그 사람이 뭐라 그랬는지가 당연히 더 중요하지
(2) scientists “can agree in their identification of a paradigm
: 과학자들이 뭐할 수 있어? (앞에 내용 떠올리며 읽자. 아까 과학자끼리 다른 생각 가진 거 커버친다고 했지?) 어떤 틀인지 알아보는 걸 서로 동의할 수 있어!
(3) without agreeing on, or even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ation of it.
: 과학자들이 뭐는 안해도 상관없어? 아 굳이 그 틀을 엄청 잘 이해 못하거나 서로 동의 못해도 상관없구나(아까 위에 나온 통일성 필요없다와 같은 말)
(4) Lack of a standard interpretation or of an agreed reduction to rules
: 기준 좀 안정하고 서로 동의 안하는 거
(5) will not prevent a paradigm from guiding research.”
: 그렇게 해도! 틀이 연구에 도움이 되는 걸 막지 않음 = 좀 뭐가 부족해도 틀만 있으면 결국 연구는 잘 해낼 수 있다!
[단순화]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문장이지만,,단순화시키고 보면 사실 그냥 ④,⑤번 문장을 짬뽕해놓은 소리다. 틀만 있으면 막 서로 합의 안봐도 연구를 잘 해낼 수 있다!
*단어가 어려운 학생들은 직역된 EBS 해석을 참고하자
------------------------------------------------------------------------------------------------------
지문을 다 읽은 다음에는 지문을 한 손으로 슥 가리고 스스로에게 질문하자.
Q. “무슨 내용이었더라?”
A: “패러다임(틀)이 있으면! 과학자들이 서로 다른 생각을 귀찮게 같게 할 필요도 없고, 연구도 잘 해낼 수 있어!
------------------------------------------------------------------------------------------------------
이렇게 생각하고 선지를 보면,
① difficulty in drawing novel theories from existing paradigms ② significant influence of personal beliefs in scientific fields ③ key factors that promote the rise of innovative paradigms ④ roles of a paradigm in grouping like-minded researchers ⑤ functional aspects of a paradigm in scientific research |
답은 깔끔히 5번이다. 주제 유형 선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다루겠지만, 추상적인 단어들이 등장한다. “functional aspect” = 그래서 패러다임이 과학 연구에 어떤 기능을 하는데? 도와주는 좋은 기능을 하지! 이런 식으로 내가 글을 읽고 생각한 요지가 선지에 대한 어떤 구체적인 내용이 되는 식이다.
------------------------------------------------------------------------------------------------------
제목처럼 이정도로 독해하면 정말 지문을 씹어먹는 수준이다. (단어, 문법 측면이 아니라 지문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서)
사실 시험장에서 이렇게까지 할 순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그래서 위 해설을 읽으면서 난 저렇게까지 생각 못했는데,,ㅋ 라고 하면서 너무 좌절하진 말자. 반의 반만이라도 했으면 꽤나 단순화 스킬에 소질이 있는 셈이니까.
중요한 건, 이런 식으로 독해를 해본 “경험”이다.
이런 “경험”들이 쌓여 “습관”이 되고, 그래야 원어민처럼 독해하고 불필요한 내용들을 필터링하며 글을 말그대로 후루룩 읽고도 거의 완벽히 이해할 수 있다.
------------------------------------------------------------------------------------------------------
마지막 첨언으로, 이런 식으로 독해하는 건 수능뿐만 아니라 내신에서도 도움이 된다.
필자는 외고 영어과 출신으로 영어 과목 내신은 상당히 좋은 편이었는데, 지문을 읽을 때 우선적으로는 항상 이렇게 씹어먹듯이 “이해”했다.
내신이니까 막판 암기도 중요하지만, 이렇게 스스로 지문을 단순화시켜서 이해하는 과정을 충분히 거쳐야 훨씬 암기도 잘되고 내용일치는 말할 것도 없이 기타 주제/제목/순서/삽입 유형 등에서 문제 풀 때 훨씬 유리하다.
내신을 포기하고 정시를 준비하는 친구들은, 내신 기간에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내신 지문을 이렇게 수능 식으로 공부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항상 수험생들의 공부를 응원한다.
칼럼 제작 | Team PPL 영어 소속 For Thee 팀
제작 일자 | 2021.12.30
Team PPL Insatagram | @ppl_premiu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체뭔일이지이게
-
플레 가고싶다
-
ㅇㅅㅇ?
-
설의 추합은 ㅋㅋㅋ 상상도 못했네
-
물론 안가지만
-
단군 이례로 한번도 없었음?
-
빨리 새터 가세요 버스 아직 안 떠남
-
진짜 존나 행복할듯ㅋㅋㅋㅋ
-
일단 만들려면 1
따로 취합하면서 입결표 등재동의 이런거 하긴 해야할듯 아무래도 개인정보니까… 인터넷...
-
큿소 추잡한 변명이다
-
건국끼얏호우~ 1
149->104번 건국끼얏호우~
-
김범준 스블 0
시잘점 다 듣고 복습한후에 스블 하고 김범준 기출 풀면서 나가는 거 어떻게...
-
부산의 지역은 0
예비 몇번까지 돌까요?
-
개쩌네
-
사십분전
-
미적 -> 확통 넘어간다는 친구가 있는데 확통 개념 다 습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
뱃지 받았네요 4
드디어!!
-
이름 안 가려서 재업했어요;; 진짜 정말 감사합니다 설대식 392인데 이게 되네요...
-
축하드립니다. 4
-
5명이 빠져?
-
수1 - 내신인가 수2 - 재밋음 확통 - 개념배울때행복 기출풀때 돌연사 미적분 - 이게맞나
-
하나 만들까요
-
수능에 대한 지능(iq)의 영향은 어느 정도인가, 과거부터 여러 말들이 있었던것...
-
카이스트 갈거면 설공 가면 되는거 아닌가
-
설의 버린 사람은 이제 메디컬 쳐맞을걸 예견한거 아닐까? 0
의치한약수 다 쳐맞을텐데 앞으로
-
설팽카좌시여… 0
-
이게말이되나??
-
3시간 꽉 채우나요? 지금 30분밖에 안 지났는데 넘 지루하네염..
-
지갑을 사야겠음..ㄹㅇ 지갑 개꼬질거리네
-
카이스트 갈거면 걍 설대 일반과 가지 왜???? (카이스트 무시 아닙니다))
-
제주의.단대치대 멏번까지 추합되었는지 아시나요? 부탁드립니다
-
약대는 졸업하면 의대랑 다르게 전문의 이런 거 안해도 되나요?
-
이동건같은사람이 과외하다 수능 한번 더 보면 설의 추합이 돌지않을까 근데 진짜 왜도냐
-
와
-
설의추합이면
-
설의는 왜 돌지 3
어디로 갈 수 있지 설공도 아닌디? 이미 설의여서 수능 한 번 더쳤는데 또 설의 붙은걸꺼
-
설의 추합 1명 돌았음
-
예?
-
평백 88기준(22333)으로 건동 이과는 갈 수 있는 곳이 아예 없는 수준인거...
-
서울대 떴냐?! 5
'조국의 미래'
-
에리카 단대 7
에리카랑 단대 붙었는데 과는 둘다 건축공학과 입니다. 어디 가는게 나을까요? 거리는...
-
고려대 2차 추합 조기발표 가능성 있나요??
-
속보 설의 추합돌았음 13
????
-
현역 때 수능 등급이 33234였고 재수해서 43223 맞고 충남대 경영학과에...
-
남자친구나 남사친이 데이트나 소개팅 술자리에서 이렇게 입고오면 호인가요 불호인가요...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AI 위조 목소리로 학폭 신고한 10대 여학생, 무고 혐의 입건 4
[서울=뉴시스] 오정우 기자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통해 위조한...
-
느낌어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