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질문드립니다] 06학년도 9월 평가원 #39 (비문학-경제)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39번 문제가 아무래도 복합적으로 추론해야 풀 수 있는 것 같은데요(느낌상?...)
이 문제 풀이 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수능 대박나실거에요~!!!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어떤식으로 접근하고 풀 수 있는지 해결방법 같은거 알려주시면 수능 전과목 만점 받으실 거에요~!!!!!!!!!!!!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06학년도 39번은 과학 제재 아닌가요?
[이누이트(에스키모) 하면 연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이글루이다.
그들의 주거 시설에는 빙설을 이용한 집 외에도 목재나 가죽으로
만든 천막 등이 있다. ~~]
로 시작하는 지문인데요..
기출 질문을 하실 때는 최소한 출제 연도와 함께
지문의 내용이나 작품제목 정도는 밝혀 주시길 바랍니다..
통상 학생이 질문을 올리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5분 이내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설을 작성하는데는
짧게는 30분 길게는 한시간씩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단답형의 답변도 있겠지만)
아예 지문 분석 같은 경우에는 한~두 시간이 더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설 올리는 사람의 성의를 생각한다면
질문자의 정교함과 정성도 들어가야 하는 것 아닌가 합니다..
질문자가 질문의 내용을 깊이 있게 생각하고 고민한 흔적만큼
질문자의 실력도 늘게 됩니다..
질문에 성의가 없는건 인정합니다
wp목에 06년도 9월 평가원 비문학 경제라고 명백하게 적혀습니다만...
죄송합니다.
질문드리는 입장에서 답변해주시는 분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점 크게 뉘우치고 갑니다
제가 잘못 봤군요..
06 기출 39번을 보고 있었군요..
하도 이것 저것 보다 보니 머리와 눈이 굳어집니다.
좀 있다 해설 올려드릴게요..
06년 9월 평가원 39번 문제 해설입니다.
[A]와 <보기>는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것은 알겠지요.
<보기>는 [A]부분에 대한 구체적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A]를 간단히 정리하면,
ㄱ. 이득 발생 --> 위험 기피
ㄴ. 손실 발생 --> 위험 선호
즉 위험에 대한 모순된 태도(비일관성)
모순된 태도에 대한 해석 --> ‘위험’을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손실’을 싫어함
(왜냐면 손실을 막기 위해 위험을 선택하므로)
의의 --> 합리적인 인간 행동에 대한 기존 인식을 비판
선지 해설
① 경제학에서는 위험을 선호하는 사람을 비합리적인 사람이라고 보는 것 같군.
☞ 위 [A]를 정리한 부분의 마지막에 ‘의의’가 있지요. 위험을 선호하는 비합리적인
기존의 인식을 비판(비합리적이라고만 볼 수 없다)했으니 바로 답인 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답이 너무 쉽게 나와 버려 ‘답이 아닐거야’하고 생각해버리면
이 문제는 아주 어려워집니다.
답이 아닐거야 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위 글에는 경제학의 두 가지 입장이 다 서술되어 있습니다.
즉, ‘합리성’에 근거한 기존경제학의 입장과 ‘심리’에 근거한 새로운 경제학의 입장
둘 다 제시 되어 있습니다.
선지 ①에서 그냥 ‘경제학’이라 했으니 기존의 경제학도 포함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답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을 겁니다.
② 위험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가 일관되지 않다는 것을 보여 주는 실험 결과이군.
☞ 이것은 당연한 내용이지요. 하지만 ‘태도가 일관 되지 않는다’는 기억하고 갑시다.
③ 경제학적 합리성에는 위배될지라도 사람들은 그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선택을 하는군.
☞ ②번 선지와 묶어 생각해봅니다. ②번 선지의 내용이 바로 ‘합리성 위배’인데 그에는
이유(기준)가 있다가 [A]와 <보기>의 내용이지요.
④ 위험을 기피하는 사람은 기대되는 이익이 조금 적더라도 확실한 쪽을 더 낫다고 생각하는군.
☞ [A]와 <보기>의 내용 그대로입니다.
선지 ②,③,④를 묶어서 선지 ①과 비교해 보면 서로 배치 되고 있음도 알 수 있습니다.
⑤ 경제학에서는 실현될 수 있는 결과 값이 기댓값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가지고 위험을 측정하는군.
☞ <보기>에서 벌 수 있는 기댓값 80%일 때 3200, 20%일 때 8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당연히 4000원에서 멀어지는 쪽이 위험도가 높겠지요.
위험을 기피한 3000원을 선택한 것은 위험도와 관계 없는 것입니다.(기대값 = 결과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