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공부시간 늘리고 싶은데...
안녕하세요 요번에 언어때문에 재수를 하게됬는데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대로면 생지도 10만뚫릴거임 이제 생지도 원장연 맞으니까 사탐하던지 아니면 투...
-
얼버기 0
와서 1시간 잤네
-
수학 인강 강사 중에 풀이랑 발상 많이 던져주는 강사 추천 좀요 약간 정병훈쌤처럼요
-
인강민철은 2권 시작하면서부터 거의 다 맞고 읽는 방법도 뭔가 강기분에서 배운대로...
-
여전히 10만명은 넘어갈려나요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서강대 25][자취방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말그대로 생감 책 안올라왔나요?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제이팝 추천 좀 6
ㅇㅇ
-
반수 실패하면 4
군수 조지고 얘도 실패하면 3년 울면서 보내면 됨? 지금 과목 몇 개 안 들으려니까 미래가 두려운데
-
내신은 빼박 cc고요 언매 기하 사문 생윤 응시합니다! 각 과목별로 몇 개 틀려야...
-
안간 학교도 뱃지 받을수 있다며 현역때 논술 3개붙었는데
-
기차지나간당 3
부지런행
-
현역때 임정환 들었음 머가 젤 나음?? 1. 학원 2. 사설 자료 뺑뺑이 3. 개념...
-
면허학원가는중 1
ㅜㅜㅜ
-
망한 월요일 1
8시까지 학원에 도착해야해서 35분쯤에는 그래도 집에서 나와야하는데 7시 15분쯤에...
-
진지하게 롯데리아 맛으로 못깐다는 말이 있는데 트루팩트임? 썸타던 여자애 면전에서...
-
훈수좀요 1
고민중인데요 작년에 개때잡했었는데 이번에 공통수학은 시발점 강의 대신작년개때잡...
-
적어도 몇분 안엔 끝낸다 이런거
-
ㅎㅇㅌ!
-
여캐일러 투척 1
수능 정복 15일차
-
학교 간다 0
-
키가 안닿아서 열쇠 못꽃고 문 못열뻔함...ㅋㅋㅋㅋㅋㅋ
-
수학 유기하다가 70점 맞을거 같아서 수학 해야겟어요
-
수학만 조져서 현실 시간 기준으로 7일만에 수학 1만들기 하고 싶음
-
ㅇㅂㄱ 2
-
원래는 하루 순공시간 10시간정도측정됨 근데 그시간동안 공부밀도도낮고 졸아서그려
-
나 어제 7시에 처 먹은 아아 때문에 아직도 못 잠…하.. 오히려 좋아 밤샘 잇올 ㄱ ㄱ혓
-
의미 곱씹으면서 여러번 읽어 봐야하는 거임 아니면 읽을 떄마다 내신처럼 붙잡고 문장...
-
매주 언매 1회식 풀어보려는데 풀거 뭐있을까 생각중인거는 기출인쇄 이감 언매...
-
지금까지 안했는데 ㅈ된거임?
-
아오
-
한약학과 출신 한약사가 조제약국을 인수하는 것 자체가 데일리팜 뉴스에 나올 정도로...
-
얼버잠 0
-
얼버기 2
월요일파이이팅
-
얼버기 1
으흐흐ㅡ호흑 자고싶어!!!
-
일어나떠요 3
-
수2를 너무 모단다
-
얼버기 3
흐헤헤
-
얼버기 2
-
밤샘 1
ㅈ됐다
-
고구마 먹고싶다 0
솔직히 고구마 굽든 찌든 맛차이몰라서 걍 전자렌지에 돌려먹는데 맛있음
-
이거뭐냐 씨발 옆집 불이라도 난건가
-
1년만의 해외여행 10년만에 두번째로 방문하는 일본 30년 전 일본에서 3년간...
?? 언어 공부시간을 늘리시면 되지요..;
구체적으로요 아까운기출지문 더풀수도없고
김강원님이 추천하시는 비문학 구조화 읽기해보세요 ㅋㅋ
제시문을 꼼꼼히 읽고 이해할수 있다는 장점 + 시간도 많이 투자
해밧는데 갠찬은 듯요 ㅋㅋ(자세한건 리웰님 자료를...)
늘리면되죠
기출지문을 아깝다고 생각하는 거에서 방향이 일단 잘못됐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언어에서 기출이 중요한 이유는 유형을 알려주는 것도 있지만
판단의 근거를 제시해 준다는 겁니다.
특히 문학에선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현실에 대한 극복의지를 보이고 있다.
혹은 현실 정치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다.
뭐 이런 것들이 나오면 이 말이 어디까지 해당하는 가를 보여주는 게 기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까지가 관심이지? 이정도면 극복의지라고 볼 수 있나?
하는 것들은 그때그때 달라요가 아니라 기출의 반복적 학습을 통해서
그 바운더리를 정하고
수능에선 그걸 근거로 판단을 명확하게 내릴 수 있습니다.
물론 기출이 모든 경계를 다 제시해 주진 못하지만
기출을 많이 반복해서 내것으로 제대로 만들 수록 경계가 명확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비문학에서는 기출을 통해 선지를 구성하는 원리와
지문을 어떤 식으로 구성하는지를 배울 수 있죠
수능지문과 일반 사설문제집 차이가 문제의 차이도 있지만
지문의 차이도 큽니다.
수능지문은 어디서 복사 붙여넣기 한 것이 아니라
교수가 원문을 읽고 글을 읽는 사람이 읽기 쉽도록 정갈하게 재구성한 글입니다.
상당히 좋은 글이라고 볼 수 있죠.
기출을 반복하다보면 본문 곳곳에 숨어있는 배려들을 느낄 수 있습니다.
논설문이나 큰 개념이 들어있는 지문들의 경우엔 더 명확히 느낄 수 있는데
서론에서 앞으로의 전개와 핵심을 제시하고
그 뒤에 단락들은 죄다 서론을 구체화 하는 데 쓰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계속 같은 내용을 말만 조금씩 바꿔서 설명하면서 이해를 돕고있죠.
문제 출제도 굳이 찾을 필요없이 동의어로 바꾸면 다 풀리게 냅니다.
설명문의 경우는 좀 다르지만요
아무튼 기출은 많이 보면 볼수록 좋다는 게 제 견해이고
언어 가르치는 사람 중에 언어를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라면 반박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