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미지와 심리 이용 분별해야 하는 이유
선택할 후보가 없다는 말이 이해하지만, 완벽한 후보를 바라니까 그런 것 같아요.
대통령이 그 나라의 국민성을 반영한다는 말이 괜한 말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한국이 많은 장점이 있는 나라지만, 국민성이 전반적으로 다 높은 게 아니잖아요.
지난 대선만 봐도, 이미지만 보고 선택해놓은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나요?
내면적(행동하는) 핵심을 봐야 하는데, 이미지와 심리전에 쉽게 판단해버리는 국민성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을까 싶어 글을 쓰게 됐어요.
완벽한 후보가 아니니까 될대로 되어라 하고 방관하기보다,
그래도 이것만큼은 지켰으면 하는 기준을 두며,
그나마 나은 후보를 선택하려고 하는 게 나은 방향 아닐까요?
예를 들어, 지금 A후보는 사람 좋은 이미지, 아픔을 잘 알아주는 이미지를 내세우고 있죠?
(이 이미지가 사실인지 아닌지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이게 사실이면 좋겠지만, 행보를 위한 이미지였을 수도 있는 거고)
그런데 이 후보자는 지난 대선 때 사퇴한다는 말을 지키지 않았어요. 이건 사실이죠? 이게 꽤 여러번 됐고요.
중요한 건, 자기가 극적인 말을 던져놓고 책임지지 않는, 앞뒤가 다른 속성을 보인 것입니다.
즉 말을 해놨지만 책임을 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 속성을 간파해야 한다고 얘기하고 싶은 겁니다. 지금도 많은 공약을 얘기해놨지만, 그 관련 댓글 보면
" 포퓰리즘이다, 현실적이지 않는 얘기다, 회사를 안 다녀봤으니까 그런 얘기 하는 거다, 등"
오르비니까 대입에도 관심이 가겠죠? 대입에 대한 공약을 봐도...
어떤 공약을 말하는 가도 중요하지만, 말한 공약을 지킬 것인가가 후보의 중요한 선택기준인데
아무리 달콤한 공약이라도 지키지 않는다면?
충실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만 보는 게 아니라, 정말 지킬 것인가를 봐야 한다고 말하고 싶어요.
말을 던져놓고 지키지 않았단 전적을 유심히 봐야하지 않을까요?
사람 좋아보이는 이미지에 가려
3강 후보중에 가장 낮은 공약 이행률이 가려지고 있는 면을 간과하진 말아야 한다고 말하고 싶어요.
그리고 C후보가 뚜렷한 주관을 내세우는 건 좋은데
당내에서 최씨를 모르는 자가 어딨냐고 했던 말처럼, 모른다는 말이 과연 사실일까?
몰랐다는 건 거짓을 말하는 속성을 드러낸 건데...
차라리 '알았지만, 자신이 어떻게 할 수 있는 힘이 없었다'고 사실을 인정했다면 어땠을까 싶었어요.
공은 치하하고 과는 인정하는 면이 있다면 저도 지지하지 않았을까 싶고,
그런데 몰랐다는게... 4개월만에 지난 당적과 다른 속성이 될려나 싶어서...
B후보를 그나마 지지하고 있었는데,
심리전에 약한 면을 보고 아쉽긴 했어요.
지금껏 이뤄놓은 행적들도 있고, 평판이나 명예욕 위한 앞뒤가 다른 속성을 지닌 자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져
개인적으로 지지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여러분도 투표권이 있는데,
투표할 때 이미지나 심리전에 쉽게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완벽한 후보가 아니라고 그냥 방관하기보다,
그래도 기반을 다질 수 있는 후보가 누굴까 따져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기반위에 국민과 정부가 함께 성장하고,
성장된 국민성을 발판으로, 더 나은 대선 후보가 나오게 만들 수 있을테니깐요.
댓글로 의견을 다실 때는
자신은 이런 기준으로 어떤 후보를 지지한다고 하는 방향이면 좋겠어요.
제가 미처 보지 못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테니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모: 34356(화미생지) 9모: 응시했는데 성적 찍어둔 게 없음(개망함) 수능:...
-
영남대 전기 1학년끝냇는데 부경대 전자 붙었음 감? 안감?
-
앞에 놀거리 많나요?
-
부산에 있는 대학중에 어디 가능할까요 화작 미적 사탐 (정법 사문)
-
문과입니다. 정법 사문 44344 받았는데 부산에 있는 대학중에 어디 가능한가요...
-
충남대 부산대 0
도와주세요! 부산대 밀양, 단대 천안, 충남대입니다
-
부산대 0
고민중인데 둘 다 밀양캠입니다.
-
서울 왤케 추은데ㅠㅠ 일단 좀 살고 봐야갔어
-
부산 맛집 1
부산역이나 서면 아니면 걍 1호선 근처에ㅜ있는 맛집 추천해주라 부산대 논술 끝나고 먹게
-
부산대 추합 0
부산대 유기 16명 예비 12 추합 ㄱㄴ? 21학년도부터 36 18 17 31 추합
-
12명 뽑구요 친구한명이 교과로 넣어준다해서 사실상 예비 10번입니다 근데 10명이...
-
부산대 기공 8
저 예비 72번인데 63번까지 추합이네요 제발 7명만 빠져쥬세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현시각 부산 4
태풍때메 집 흔들리고 유리창 깨지고 난리도 아님.. 나처럼 잠 못 자고 있는 사람 있냐
-
여기서 메이저대학은 아니지만,혹시 궁금한거있으시면 질문해주세요!
-
이과가 수능때 제2외국어 응시하면 시험장 멀리 배정되나요? 27
부산에 사는 현역 고쓰리 이과생인데 고사장 분위기땜에 원서쓸때 아랍어까지...
-
http://naver.me/GF2NLUei
-
대학vs 학과 어느걸 선택해야할까요
-
재수학원 다닐려고 알아보고 잇는데 대성이랑 종로중에 고민인데 둘중 어느곳이 더...
-
이런 고민 하는게 코미디지만.. 그냥 심리만 알고싶습니다 ㅋㅋ.. 오늘로...
-
토즈사직점서 혼자 3달차인데.. 그냥 밥이라도 같이드실..전우분 안 계시나요?...
-
재수생이구요. 20살 남자입니다. 그냥 오는거확인이나. 모르는거..좀 물어보고 하고...
-
집근처에 자이스토리 부산본원 개원해서 상담받았는데 시설도좋고 자율적인 느낌이여서...
-
부산에 친구, 동생들이랑 1박2일 여행가는데 추천좀요!!! 1
잠은 찜질방에서자고 1박 2일로 4~5식 정도할거같은데겨울에 볼만한곳있나요? 다남자임....
-
님들은 어디가실래요?? 이번에 지인이 그렇게 정시썼는데 둘다 합격권이어서어디갈지 고민이라길래 ㅋㅋ
-
가고싶다레알... 보내주면 거의 울듯...
-
그래도 계속 들어오게되네요.. 수능 셤 전에는 뭔가 끝나자마자 할거...
-
어디가 괜찮나요?? 분위기는 개판만 아니면 되고 시설 좋은 쪽으로..
-
[의대협 주최 행사] 수능 끝나신/ 대학생 여러분! 부산에서 까놓고 SEX얘기해봅시다 5
12월 20일 토요일부산 1호선 교대역 3번출구의 공간초록에서 색기발랄한...
-
부산사시는분들 질문 10
회 어디가 싸고 많이 먹을 수 있나요? 자갈치시장? 더 좋은 곳 있나요 서울촌놈이라ㅎ
-
작년에 논술학원 다니다가 정시올인 한다고 나와서 재수하게된 학생입니다. 올해는 좀...
-
[부산 센텀시티] [의대생 수학과외] 글 길지만 한번 읽어보세요 0
학교 : 인제대학교학과 : 의학과학번 : 09나이 : 26 과외 과목 : 수학 과외...
-
[인제대 의대, 서울대 재료공학] 부산/김해 지역 중고생 수학과학 과외합니다!! 1
학교 : 인제대학교학과 : 의예과학번 : 12나이 : 20 (93년생 현역)성별 :...
문제는 후보가 아니라 투표자들도 이상한사람들이 너무 많은게 문제입니다...
애초에 색안경을 끼고보고 논리적인 사고를 안하면서 지지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으니까 후보자들도 막장으로 선거유세하고 그러는거지요 그게 먹히는 집단들이 있으니까요
저 또한 그 문제에 공감해서, 뭐라도 할 수 있는 걸 하자 해서 글을 올렸어요.
100년전만 해도 일제강점기였고, 그 이후는 친일파 청산안되고 오히려 정경유착하는 기반이 되어갔으며,
국권을 주장하거나 정당한 권리 주장하는 사람들은 생존이 위협받고...
이런 역사 속에서 '생존'이 가장 중요한 게 됐고, 생존을 위해서라면 부정부패든 뭐든 수단방법 안 가리는 국민성이 대물림되어온 결과가 아닐까 싶어요. 생존과 경제회복이 시급한 우선순위라고 여겼기에, 시민의식이나 국민성의 성장은 뒷전이 되어왔고...
그래도 이전 세대들이 일궈온 경제기반이 있어서, 후 세대들은
보다 의식이 깨어나는 시점을 맞이할 수 있는 점도 있었으니까
이전 세대들을 일깨워가며 가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부모나 조부모들은 그래도 자식 말에 귀기울테니까, 대선 후보 결정에
기준을 제시해주는 방법등도 있고, 할 수 있는 일을 해야할 거 같아요.